또 장관 직속으로 납북자대책반이 신설되고, 북한 실태를 분석하고 국내외에 알리는 기능이 강화된다.
정부는 이날 이같은 내용의 '통일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을 관보에 공고했다.
이번 개편에 따르면 통일부의 남북 교류협력 업무를 담당하는 교류협력국, 남북협력지구발전기획단(국장급), 남북회담본부(실장급), 남북출입사무소(국장급)가 '남북관계관리단'으로 통폐합된다. 남북 간 대화와 교류·협력을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력을 재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통일부는 윤 대통령이 '대북지원부 탈피' 지침에 따라 정원을 현재 617명에서 536명으로 81명(13.1%) 감축하고, 본부 조직을 3실 3국 6관 1단 31과 4팀에서 3실 3국 5관 27과 6팀으로 조정했다.
장관 직속으로 신설된 '납북자대책팀'은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를 전담하는 조직으로, 사안의 시급성을 고려해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게 통일부의 설명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남북 간 대화와 교류협력이 장기간 중단된 남북관계 상황과 급변하는 통일정책 환경에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그 기능과 인력 재조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28일까지 입법예고기간에 직제 개정안에 대한 여론을 수렴하고 31일 차관회의와 다음 달 5일 국무회의를 거쳐 개정 직제를 공포·시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