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농어촌공간이 지나온 시간과 나갈 길

기사승인 2021. 07. 06. 17:1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안중식 농어촌공사 충남본부장
안중식 농어촌공사 충남본부장
안중식 농어촌공사 충남본부장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0년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아지면서 인구가 자연 감소하는 ‘데드크로스(Dead-Cross)’가 처음으로 나타났다.

또 ‘충남도 시·군 인구추계와 정책과제(2016년, 충남연구원)’ 연구결과를 보면 2040년에 수도권과 인접한 북부 4개 시·군(서산시, 당진시, 아산시, 천안시)을 제외한 충남 모든 시·군에서 인구가 감소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미래의 농어촌을 이끌어갈 동력이 약화되는 것으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처럼 대한민국 전체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끊임없이 이어져온 이촌향도(離村向都) 현상으로 인해 농어촌의 인구감소가 더욱 가속화 되고 있는 것은 전 국민이 알고 있는 사실일 것이다. 특히 인구감소가 더욱 심각한 농어촌을 되살리는 것은 우리뿐만 아니라 후세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과제다.

정부는 그동안 농어촌공간에 기반시설 중심의 사업 추진으로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여왔다. 우선 정주권개발사업,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취약지역생활여건개조사업 등을 통해 농어촌공간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인프라시설을 확충했다.

또한 마을의 소득향상을 위해 6차산업(1×2×3=6) 개념을 도입해 지역의 특성에 맞는 농산물을 이용한 가공시설을 조성해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했다. 이와 함께 주민들이 마을과 시설을 스스로 운영할 수 있도록 역량강화사업도 병행해 추진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농어촌공간은 이전보다는 살기 좋아진 것은 분명하지만, 그동안 사업을 추진하면서 많은 문제점도 발생했다. 중앙정부 주도의 사업추진으로 시·군별로 개별사업 공모에 참여했기 때문에 사업간 연계와 보완을 통한 효과창출이 다소 미흡했다.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농어촌공간이 필요로 하는 사업의 성격도 변화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저밀도사회 지향, ICT 발달과 비대면 트렌드의 대두로 농어촌은 새로운 기회의 공간으로 재탄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도시민의 농어촌주거, 일자리, 지역사회 활동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농어촌공간은 기존 지역주민의 생활터전이라는 좁은 인식에서 벗어나 도시민도 함께 체류·활동하는 공간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외부인구를 유입할 수 있는 기반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청·장년층이 거주할 수 있는 주거단지를 생활 인프라가 어느 정도 확보된 인근에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에 비해 열약한 정주여건은 농어촌 정착에 불리한 요소이므로 생활SOC사업과 연계한 입지선정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인구유입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기 위한 일자리 확보정책도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공간의 명소화를 통해 농어촌공간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최근 사람들의 주요 정보습득원은 웹(Web)과 스마트폰이기에 이들을 지역으로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마케팅을 주요 전략으로 세워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로 인한 해외여행의 위축으로 국내여행의 인기가 많아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농어촌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자원에 뉴트로(Newtro) 등의‘감성’을 더한다면 SNS를 통해 방문객이 유입되고 활력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과거 농어촌공간에서 시행해온 사업경험은 향후 사회여건 변화에 발맞추어 추진될 사업이 내실 있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단초가 될 것이다. 농어촌의 가치창출로 지역주민과 도시민의 행복수요가 충족되는 공간으로 탈바꿈되길 기대해본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