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사설] 中진출 기업, 공장 이전 등으로 위험 분산해야

[사설] 中진출 기업, 공장 이전 등으로 위험 분산해야

기사승인 2021. 09. 28. 18:02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세계의 공장 중국에서 심각한 전력난으로 이미 진출한 한국 제조업체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 22개 성 가운데 16개 성에서 전력 제한조치가 내려져 공장이 셧다운 되고, 일부 지역에선 신호등까지 마비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부동산 재벌 ‘헝다’의 파산 위기보다 전력난 쇼크가 더 심각하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전력난은 중국 국내총생산(GDP) 28%를 차지하는 광둥·장쑤·저장성에서 시작돼 전역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광둥성은 전기 배급제와 함께 3층 이하는 걸어다니게 했고, 선전시는 1주일에 4일만 공장을 돌려야 한다. 산터우시는 9월 말까지 전체 공장을 멈춘다. 둥관시는 오후 8시 이후 전력 공급을 끊고, 길림성에서는 신호등이 멈춰 큰 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 현상은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 석탄·천연가스 가격 급등, 공장 가동률 상승, 이상고온 등이 주된 원인이지만 시진핑의 탄소중립 선언과 동계올림픽 기간에 깨끗한 하늘을 보여주기 위한 석탄사용 제한도 큰 영향을 미쳤다. 중국은 전체 에너지의 60%를 석탄에 의존하는데 수입을 늘리거나 에너지원을 바꾸지 않은 한 전력난은 계속된다고 봐야 한다.

문제는 한국 기업들. 장쑤성의 포스코 공장은 17일부터 가동이 중단됐는데 다음 달에 재가동될지도 미지수다. 전력 부족 지역에 LG화학,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와 삼성디스플레이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몰려 있어 피해를 입지 않을지도 걱정이다. 만약의 상황에 대비는 하지만 전력이 정상 공급되기를 바라는 것 말고는 마땅히 취할 방법이 없어 고민이 깊다.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은 불안한 전력 수급 사정, 심해지는 당국의 기업 규제, 관리가 힘든 노사문제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인건비가 예전처럼 싸지도 않다. 모두가 위험요인으로 조만간 중국 당국의 변화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위험을 분산하는 게 중요한데 중장기적으로 인도, 남미,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한국에 우호적인 지역에 공장을 짓는 것도 대안이 될 것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