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해양쓰레기 저감·수산물 안전’으로 지속가능 ‘해양환경’ 만든다

‘해양쓰레기 저감·수산물 안전’으로 지속가능 ‘해양환경’ 만든다

기사승인 2021. 10. 25.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반려해변' 사업 확대·갯벌 가치 홍보
고등어 등 100여개 품종 방사능 검사
후쿠시마 원전수 방출 불안감 해소
basic_2021
최근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며 세계적으로 해양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졌다. 이에 해양수산부에서 해양환경을 총괄하고 있는 해양환경정책관실의 역할도 커지고 있다.

24일 해수부에 따르면 해수부는 해양수산 탄소중립을 위해 올 연말을 목표로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과 ‘제4차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분야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해양환경과 관련된 사업을 진두지휘하는 윤현수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해양수질 관리, 해양플라스틱 저감, 해양생태계 보전·관리 등 해양환경의 보전과 활용, 그리고 해양공간계획 수립 등 해양공간의 체계적 이용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양환경정책관실은 최근 국제적으로 논의되는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 문제에 집중하고 있다. 우선 2030년까지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을 60% 줄이고, 2050년 완전 제로화를 목표로 잡았다. 이를 위해 예산도 2019년 597억원 규모에서 올해 1305억원으로 대폭 늘렸다.

해양 쓰레기 관리에 용이하도록 해안·부유·침적 쓰레기로 나눠 처리하고 있다. 해안가 쓰레기의 경우 육상의 환경미화원과 같은 ‘바다환경지킴이’를 배치해 관리 중이다. 사람이 직접 쓰레기를 줍고 있지만 바다환경지킴이 1인당 월평균 수거량이 3.5t에 달할 정도로 성과가 좋다. 항만과 어항 주변의 침적쓰레기의 경우 2018년 2240t, 2019년 2521t, 2020년 3144t으로 매년 수거량이 크게 늘고 있다. 더욱이 내년부터는 도서지역의 해양쓰레기 정화운반선도 운영하며 그동안 관리가 어려웠던 도서지역의 쓰레기도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또 미국 등 해외에서 반응이 좋은 ‘해변입양’ 제도와 닮은 ‘반려해변’ 사업도 진행 중이다. 반려해변은 민간이 주도해 스스로 책임지고 반려해변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지난해 제주에서 실시한 시범사업이 성과를 얻은 후 올해부터 인천, 충남, 경남 등으로 확대했다. 현재는 하이트진로, 공무원연금공단, CJ제일제당 등 기업과 공공기관이 주로 참여하고 있지만 앞으로 민간 참여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대외적으로도 한국의 해양쓰레기 저감 노력을 널리 알리기 위해 힘쓰고 있다. 세계 최대 해양폐기물 행사인 ‘국제 해양폐기물 콘퍼런스’의 7차 행사를 내년 9월 부산에서 개최하는 데 성공했다. 국내 개최의 성공을 통해 앞으로 관련 협약이 제정되는 과정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한 셈이다.

해양쓰레기 저감뿐만 아니라 해양환경정책관이 주목하는 건 우리나라의 ‘갯벌’이다. 윤 정책관은 “갯벌에 염생식물 군락지를 조성하는 갯벌 식생조림 사업을 내년부터 새롭게 착수할 예정이며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갯벌을 보전하고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갯벌의 해양생태계 다양성 회복과 서식지 보전을 목표로 우선 갯벌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한다. 여기에 세계유산적 가치와 보전에 대한 국민 인식 증진, 국내외 홍보 등에도 박차를 가한다.

아울러 일본 후쿠시마 원전수 해양방출로 인해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는 만큼 수산물 안전을 위해서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지난 4월 일본 정부의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출 결정 이후 증가한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고등어, 명태 등 소비가 많은 주요 수산물 40개 품종에 대해 생산단계에서 방사능을 검사하고 있다. 더욱이 내년부터 검사를 강화해 국내 생산량 1000t 이상 100개 품종 중점검사로 늘리고, 위·공판장에 방사능 검사 장비를 보급해 방사능 검사 체계도 마련한다.

내년을 목표로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에 수산물 안전 전담부서를 신설해 국내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강화한다. 수입 수산물에 대한 유통이력 관리와 원산지 단속도 보다 철저하게 시행해 국민 불안을 해소하는 데 노력한다.

수산물뿐만 아니라 해양의 방사능 모니터링도 강화해 올해 39개소였던 조사 정점을 45개소로 확대한다. 또 올해 13개 정점 연 6회였던 조사 주기를 내년엔 22개 정점 연 6회 조사로 늘린다.

윤 정책관은 “국민들이 안심하고 바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그리고 미래세대에게 깨끗한 바다를 물려줄 수 있도록 해양환경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연말에 발표될 해양수산 탄소중립 로드맵을 차질없이 추진해 해양수산 기후변화에도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