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현대차 신사업 거점, 왜 미국인가…UAM·로보틱스 기술·인재 내재화 필요성도

현대차 신사업 거점, 왜 미국인가…UAM·로보틱스 기술·인재 내재화 필요성도

기사승인 2022. 05. 23. 17:4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UAM·로보틱스·자율주행 투자
세계 최대 인프라 등 활용 가능
규제 장벽도 낮아 혁신제품 개발
국내 기술인재 감소 악영향 우려
KakaoTalk_20220523_151141236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로보틱스와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자율주행까지 미래 먹거리 사업 거점을 모두 미국으로 삼은 이유는 아직 관련 법규정도 채 정비되지 않은 답답한 국내시장의 한계를 벗고 세계 최대 시장의 물적·인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다. 요컨대 규제에 막혀 진척이 더딘 인공지능(AI) 융복합 기술, 턱 없이 부족한 첨단산업 인재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바로 ‘미국’에 있다는 게 전문가 평가다. 다만 핵심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과 인재 확보 만큼은 국내에서 이뤄져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지금 당장은 우수한 기술 인력이 부족하다고 해외로만 진출할 경우 국내 기술인재가 더욱 줄어드는 등 악순환이 거듭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적된다.

23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이번 회담에서 미국 측에 구체적으로 수치를 언급한 신규 투자를 약속한 기업인은 정 회장이 유일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따로 면담을 갖고 신뢰를 주고 받은 이도 정 회장 뿐이다. 회담을 통해 가장 많은 것을 얻어가는 기업이 현대차라는 얘기가 나오는 배경이다.

정 회장이 바이든과 별도로 면담하며 50억달러 규모 투자를 약속한 미래 신사업은 자율주행, 로보틱스, UAM이다. 자율주행과 관련해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자율주행 기술력은 현대차가 선진국 대비 3년 정도 뒤쳐져 있다”면서 “현대차와 미국서 합작 형태로 자율주행 사업을 진행하는 모셔널이 핵심”이라고 했다. 실제로 모셔널이 아이오닉 5를 기반으로한 자율주행 상용화를 이미 추진 중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우버이츠’ 배송 서비스를 막 시작했다. 데이터가 쌓이면 내년 카셰어링 업체 ‘리프트’와 함께 미국에서 상용 로보택시 서비스도 개시한다.

김 교수는 또 “국내 제도와 규제 자체가 포지티브 규제이기 때문에 신기술에 대한 테스트나 기반 인프라가 매우 미흡한 상태”라며 “반대로 네거티브 형태의 규제를 적용하고 있는 미국은 가장 혁신적 아이디어로 신기술·신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환경”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그는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를 통해 세계 최고 로봇 회사를 인수 하지 않았느냐. 로봇에 대한 추가 투자가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세계적 로봇 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지분 80%를 1조 원에 인수, 로봇 개로 알려진 4족 보행 로봇 ‘스팟’과 2족 직립 보행이 가능한 연구용 로봇 ‘아틀라스’, 창고 자동화를 위해 설계된 로봇 ‘스트레치’ 등을 선보였다. 스트레치는 내년 대량 상용화가 예고돼 있다.

아직 아무도 가본 적 없는 모빌리티 UAM은 이를 법적으로 지원하고 또 실증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핵심이다. 현대차는 2020년 워싱턴DC에 UAM 독립법인인 슈퍼널을 설립하고 전기 수직 이착륙 장치 연구 개발을 진행 중이다. 현지 법인을 만든 이유는 국내엔 없는 기체를 인증할 수 있는 인프라가 미국에 갖춰졌고,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시스템도 허가돼 있어서다. 기체를 제작하려면 품질경영 인증시스템을 갖춰야 하고 항공전자 장비는 하드웨어 인증과 소프트웨어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아직 국내엔 그런 체계가 전혀 구축되지 않은 상태로 알려졌다.

항공업계 전문가는 “현대차는 인증경험이 없기 때문에 관련 프로세스가 있는 회사를 인수합병하거나, 완제기 만드는 회사를 사들여 현대 마크를 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직 한국이 안전성을 입증할 수 있는 제도가 없다 보니 연구개발이 미국에서 이뤄질 수밖에 없고, 인증 후 다시 우리나라에 들여오는 과정을 거칠 것이란 분석이다. 또 서울 도심이 너무 복잡해 교통시스템을 만들기 어렵고 상대적으로 미국은 도시와 도시간 이동이 한국보다 단순하고 도심 내 구조물도 상대적으로 통일돼 있어 드론 배송 등이 가장 먼저 이뤄지고 있는 중이다. UAM 기체를 만드는 데에도 다수의 항공전자 분야 협력사들의 부품이 필요하지만 국내에선 참여 기업 찾기도 마땅치 않은 상태로 전해졌다.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기술과 인재까지 해외 거점화 해선 안된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 교수는 “국내는 첨단분야 전문가 숫자가 상당히 부족한 상태로, 이제 겨우 교육에 나서는 판”이라면서 “모든 인재가 모여드는 미국에서 사업을 벌이는 이유가 다 있다”고 했다. 특히 사업 주도권을 가져갈 수 있는 핵심기술 R&D에 대해서 만큼은 내재화 해야 한다는 시각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