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오염수 해양 방류를 시작한 24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앞바다의 모습./AFP 연합뉴스
정부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내 방사성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을 사실상 지지했다고 일부 외신이 보도한 데 대해 반박했다.
외교부는 25일 이같은 입장을 내며 "우리 정부는 일측 방류 계획의 안전성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국제 검증과정에 적극 참여했고 자체적으로 안전성을 검토하였는바, 실제 방류가 검증한대로 이행되지 않거나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을 경우 이를 반대한다는 입장도 분명히 밝혀왔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런 차원에서 우리 정부는 그간 IAEA 등과 긴밀히 협력해 일본의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높은 투명성이 확보되고 치밀하고 다층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체제를 마련, 가동시켰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 도쿄전력은 탱크에 저장된 오염수를 엄격한 (방사성 물질 농도) 기준치 이하로 정화·희석 처리해 안전성이 확인된 경우에만 방류하겠다고 했다"고 부연했다.
외교부의 이 같은 입장을 표명하는 이유는 영국 BBC 등 일부 외신이 전날(24일) ""중국은 일본이 태평양을 개인 하수처리장으로 쓰고 있다고 비난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는 (오염수) 방류 계획을 지지하고 있으나 여론은 다르다. 시민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고 전한 데 따른 것이다.
이런 가운데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오염수 관련 일일브리핑에서 "방류 상황을 분석하고 대응하기 위해 전문성을 갖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검토 팀을 운영 중"이라며 "모니터링 상황을 지속 주시하고 국민 안전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도록 적시에 최선의 조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IAEA역시 지난달 초 일본의 오염수 방류 계획이 '국제기준에 부합한다'는 최종 검토 결과를 내놨다.
일본은 전날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의 해양 방류를 개시했다. 도쿄전력은 ALPS로 거를 수 없는 삼중수소는 바닷물과 희석해 농도를 일본 규제 기준의 40분의 1인 ℓ당 1500베크렐(㏃) 미만으로 만들어 내보내기로 했다.
이번 일본의 오염수 방류는 2021년 4월 스가 요시히데 당시 총리가 오염수 처분 방식으로 해양 방류를 결정한 지 2년 4개월 만이며, 2011년 3월 11일 동일본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지 약 12년 반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