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지난 18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 인근 대통령 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한미일 정상 공동기자회견을 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제공=대통령실
한·중·일 3국 정상회의 개최준비를 위한 고위관리회의(SOM)가 다음달 말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회의에서는 일본 원전 오염수 문제를 포함한 환경·사이버안보·해양 정책 분야 등 정상회담 의제 사전 조율을 위한 현안이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30일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고위관리회의는 한국 주도로 추진 중이며 사무차관급으로 개최된다. 회의에는 정병원 외교부 차관보와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 눙룽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가 참석해 정상회의 재개 문제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마이니치신문도 이날 "3국의 외교부 고위급 실무 레벨 협의를 9월 하순 서울에서 개최하는 방향으로 조율되고 있다"고 복수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와 관련,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지역평화와 번영을 위한 3국 정상회의 개최를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지난 24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내 방사성 오염수의 해양 방류 개시로 중국 당국의 반발이 거세지는 등의 관측이 제기됐지만, 3국 간 조율작업은 진행되는 중으로 알려졌다. 야마구치 나쓰오 공명당 대표가 기시다 총리의 친서를 전달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했지만, 중국 당국이 이를 거절했기 때문이다.
당초 일본 정부는 다음 달 5일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 맞춰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리창 중국 총리 간 회담도 조율하고 있었다. 1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주석과의 정상회담도 계획했지만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영향을 비롯해 그간 일본이 3국 정상회의 추진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해 3월 한국이 주도해 강제징용 해법을 마련하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한일정상회담에서 "고위급 한일중 프로세스를 조기에 재가동하는 중요성에 대해 일치했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내놓으면서 외교적 소통이 탄력을 받게 됐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지난 2008년부터 '일본→중국→한국' 순으로 개최하다가 코로나19 영향을 비롯, 한·일관계 악화 등으로 2019년 12월 중국 청두 회의 이후 중단됐다. 개최순서에 따르면 이번이 한국에서 개최될 차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