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수 해양방류를 두고 첨예하게 대립각을 세웠던 중국과 일본이 이번엔 영유권 분쟁 중인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두고 충돌했다. 센카쿠 열도 인근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안에 중국이 해양조사 부표를 설치해 일본 정부가 중국 측에 항의했다고 18일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7월 11일 해상보안청 순시선은 센카쿠 열도 주변 중국과 일본의 EEZ 경계선으로부터 일본 쪽으로 약 500m 떨어진 해역에서 노란색 부표를 확인했다.
부표는 센카쿠 열도에서 북서쪽으로 약 80km 떨어진 해역에 설치돼 있었으며, '중국 해양관측 부표 QF212'라고 적혀 있었다. 부표와 연결된 무거운 추를 해저에 떨어뜨려 고정한 것으로 보인다. 요미우리는 유럽우주기구(ESA)의 센티넬-2 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조사해 7월 초순에 해당 해역에서 부표로 보이는 지름 10m 정도의 물체를 확인했다고 전했다.
또 선박자동식별장치(AIS) 자료를 통해 대형 부표를 운반하고 설치할 수 있는 중국 선박 '상양(向陽) 22'가 7월 2일 해당 해역에서 활동한 사실도 파악됐다. 제11관구 해상보안관구의 토야마 아츠시 영해경비담당차장은 "중국이 부표로 수집한 정보를 인공위성으로 송신해 파도 높이, 조류 등을 파악하고 해경선을 파견하기 위해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요미우리는 유엔해양법협약에 따라 다른 나라의 EEZ 내에서 당사국의 동의 없이 해양조사를 하는 행위는 금지돼 있지만, 중국이 이전에도 여러 차례 EEZ 안쪽 해역에 부표를 설치해왔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신문은 지난해 자국이 설정한 센카쿠 열도 영해 바깥 쪽의 접속수역에서 중국 해경선이 항해한 날이 336일에 달했다며 "센카쿠를 실효지배하려는 중국의 움직임이 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