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범정부, 보이스피싱 원스톱 해결… ‘통합신고대응센터’ 개소

범정부, 보이스피싱 원스톱 해결… ‘통합신고대응센터’ 개소

기사승인 2023. 09. 26. 17:1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보이스피싱 신고절차 및 피해구제가 대폭 간소화된다. 보이스피싱 신고 전화는 112, 인터넷은 '보이스피싱지킴이' 사이트로 일원화돼 사건처리부터 피해구체까지 원스톱 처리가 가능해진다.

정부는 경찰철, 금융감독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방송통신위원회와 함께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를 개소했다고 26일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보이스피싱 대응 범정부 TF'를 중심으로 강력한 단속과 수사, 금융 특별대책 등을 추진한 결과 지난해 보이스피싱 발생건수와 피해금액이 전년 대비 30% 감소하는 성과를 냈으나 실시간 신고와 상담 정보를 분석하고 대응하는 통합 기구가 없어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부처별로 신고·대응창구를 개별 운영하고 있어, 신고 및 대응을 위해 국민이 직접 소관 부처를 찾아야 했고, 동일한 내용을 각 기관에 여러 번 반복 신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체계적이고 유기적인 범정부적 통합 대응을 경찰청· 방통위 등 관계부처와 금감원·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유관기관, 통신3사(통신사별 2명씩, 6명 통합근무 중) 등 민간기관이 참여하는 통합 대응기구를 설치하게 됐다.

앞으로 보이스피싱 피해시, '112'에 신고하기만 하면 사건접수 뿐만 아니라 악성 앱 차단, 피해구제(지급정지) 등을 한 번에 처리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범죄조직 검거 시, 신고되지 않은 사건까지 분석·추적해 여죄의 단서로 활용하는 등 조직적 범죄에 대해 더욱 엄정한 처벌이 가능하고, 최근 유행하고 있는 '악성앱 스미싱' 등 신종수법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센터를 중심으로, 예방-대비-대응-사후관리 등 범정부 대응 4단계 프로세스를 운영한다.

정부는 삼성전자·이통3사·은행연합회와 통신·금융분야 협업사항을 공동 발굴·추진하고, 피해확산 방지를 위한 업무지원 및 정보공유를 통해 보이스피싱 관련 정책·제도 도입 및 대국민 홍보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경과보고를 통해 "보이스피싱은 개인의 재산을 빼앗으며, 고통과 상처를 남기고, 사회적 불신까지 초래하는 악성 범죄 그 자체"라면서 "통합신고대응센터가 보이스피싱 범죄 근절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방기선 국무조정실장은 "통합신고대응센터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범부처 합동 대응 기구의 표본이 될 수 있도록 비상한 각오로 근무해달라"면서 "통합신고대응센터와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즉각적이고 실효적인 대책이 현장에 즉시 반영될 수 있도록 범정부 총력 대응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