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이바, 재활용 장탄소섬유-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활용한 미래모빌리티 친환경 복합재 부품 개발 삼양사, 바다에 버려지는 폐어망을 재활용한 친환경 소재로 ESG 경영 가속화 진행 중
전기차용 친환경 경량 배터리팩 케이스 공동 개발
0
왼쪽부터 삼양사 이준희 Advanced Materials Business unit 장과 한국화이바 한주희 연구소장이 26일 삼양사 본사에서 '폐어망 재활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중간재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공동개발 협약식(MOU)을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한국화이바
한국화이바(대표 이진광)와 삼양사(대표 강호성)는 지난 26일 서울 삼양사 본사에서 '폐어망 재활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중간재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공동개발협약식(MOU)을 가졌다.
27일 한국화이바에 따르면 이번 협약을 통해 삼양사는 폐어망 재활용 플라스틱 컴파운드 소재를 한국화이바에 공급하고 한국화이바는 이를 활용해 미래모빌리티용 친환경 열가소성 중간재와 재활용 탄소섬유복합재 부품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한국화이바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복합소재 전문기업으로,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원자재에서부터 우주항공방산 복합재 핵심부품제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험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기차를 비롯한 미래항공모빌리티, 드론, 로봇분야 복합재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번 삼양사와의 개발협력을 통해서 '미래 폐자원'으로 인식되는 플라스틱을 미래모빌리티 성능향상을 위한 친환경·고기능성 핵심부품으로 개발해 자원순환체계 확립과 이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를 이룰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양사는 오랜 기간의 컴파운딩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재와 동등한 수준의 물성을 가지는 폐어망 재활용 컴파운드 소재를 상업화하여 자동차 내외장재뿐만 아니라 전자제품, 생활잡화 등으로 재탄생시켜 친환경 소재의 강자로 발돋움하고 있고, 친환경 경량 미래모빌리티 부품개발을 통해 자동차 시장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차체경량화 및 재활용 소재 의무 사용의 두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전략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한국화이바 한주희 연구소장은 "협약식을 통한 양사간 협력으로 '친환경 재활용 중간재를 미래모빌리티 복합재 부품에 적용해 제품의 품질 신뢰성을 확보하고 고객의 Needs를 만족하는 제품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삼양사 이준희 AM(Advanced Materials) BU장은 "차체경량기술에 친환경 재활용 소재를 적용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