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박근혜 대통령, 국회·국민 소통 방식 달라지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hare.asiatoday.co.kr/kn/view.php?key=20151020010011312

글자크기

닫기

김종원 기자

승인 : 2015. 10. 21. 06:39

역사교과서·노동개혁·경제활성화·FTA·예산안 처리·통일 외교안보 현안 등 국정 전반 여야 정치권 적극 협력 '행보'...22일 여야 청와대 회동·27일 국회 시정연설 '정치권·국민 적극 소통 의지'
박근혜 김무성 문재인 1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3월 청와대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왼쪽)·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정국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청와대 여야 대표 회동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연합
“박근혜 대통령이 첨예하게 충돌하고 있는 역사교과서 문제를 풀기 위해 전략적 계산을 했다고 해도 야당과 대화를 제의한 것은 정치권을 비롯한 국민과의 소통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한 정치전문가는 박 대통령이 19일 한미정상회담 방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가 참석하는 청와대 회동을 전격 제의하고 합의에 이룬 것과 관련해 박 대통령의 소통 의지를 보여주는 아주 잘한 제의라고 20일 평가했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의 이번 청와대 회동 전격 제의와 합의 과정은 야권을 바라보는 기존의 시각 자체가 달라지고 있으며 달라질 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임기 절반을 이미 지나 집권 후반기로 갈수록 산적한 국정 현안을 해결해야 하는데 내년 4월 총선과 내후년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야권의 협력과 협조 없이는 국정 운영과 개혁 추진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도 박 대통령의 여야 정치권과의 전격 회동 제안과 관련해 “야당을 직접 만나 설득하고 이해와 협조를 구하기 위한 결정”이라면서 “현안이 있을 때 피해 가지 않겠다는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것”이라고 정치권·국민과의 소통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방미 결과를 설명하겠다는 명목하에 청와대 회동을 야권에 제의했지만 사실상 역사교과서 문제로 꽉 막힌 정국을 야권의 협력과 협조를 구해 어떤 식으로든 해결해 보겠다는 진정성이 담긴 소통의 의지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특히 박 대통령의 이러한 정치권·국민과의 소통 의지는 오는 27일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를 직접 찾는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박 대통령은 2013년 취임 이후 한 번도 빠지지 않고 이번까지 3년 연속 국회에 직접 나와 시정연설을 한다. 지금까지 3년 연속 시정 연설을 하는 대통령은 박 대통령이 처음이다.

박 대통령이 오는 22일 여야 지도부를 청와대로 초청해 회동한 뒤 국회를 직접 찾아 시정연설을 함으로써 앞으로 국회를 비롯한 국민과의 소통을 적극 강화해 나가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임기 후반기에 접어든 박 대통령이 시급한 노동개혁과 공공·교육·금융 분야의 국정 핵심 4대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여야 정치권과 국민의 협조를 적극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용호 원광대 초빙교수(정치평론가)는 “박 대통령이 역사교과서 문제로 국민 절반이 딱 갈라져 있는 참 어려운 상황을 풀기 위해 야권과 머리를 맞대고 국정을 논의하는 것은 정말로 잘 한 결정”이라면서 “집권 하반기로 갈수록 박 대통령이 국회와 국민의 협력과 협조를 구해 적극 소통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2013년 9월과 올해 3월 열린 여야 지도부와의 두 차례 회동에서 야당과의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박 대통령이 이번에는 어떤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당장 회동 직후인 27일 시정연설을 위해 박 대통령이 직접 국회를 가야 하기 때문에 이번 청와대 회동에서는 어떤 식으로든 대치 정국의 돌파구를 찾을 것이라는 기대 섞인 전망도 나온다.

박 대통령은 이번 회동과 시정연설에서 한미정상회담 방미 성과를 설명하고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관련 법안, 경제활성화 법안, 한·중과 한·베트남, 한·뉴질랜드 자유무역협정(FTA)의 조속한 국회 비준, 내년 예산의 법정 시한 내 처리 등에 대한 야당의 협조를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김종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