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北, 실패한 위성 사진 이례적 공개...추가 발사도 예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hare.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601010000399

글자크기

닫기

박영훈 기자

승인 : 2023. 06. 01. 12:28

北, 실패한 위성장면 공개...도발 방식 다르게 표출
김여정 "정찰위성 곧 우주로 진입해 임무수행"
2023060101000040900000731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새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발사 후 2시간 30여분 만에 실패를 공식 인정했다./연합
북한이 전날(31일)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장면을 공개한 가운데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담화문을 통해 "머지않아 우주궤도에 진입할 것"이라며 추가발사를 예고했다.

북한의 이 같은 행동은 향후 우리 정부가 쏘아 올릴 위성을 보다 먼저 발사하면서 빠른성과를 내겠단 의미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북측 자신들에 대한 정책에 결코 굴복하지 않고 향후 더 위협적인 군사도발 방식으로 표출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조선중앙통신은 1일 전날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발사장에서 발사된 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 모습을 공개했다. 발사 장소는 북한이 최근 기존 서해위성발사장에서 3㎞ 정도 떨어진 바닷가에 조성한 새 발사장(제2발사장)으로 추정된다.

이런 가운데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군사정찰위성은 머지않아 우주궤도에 정확히 진입할 것"이라며 추가 발사를 예고했다. 발사를 하더라도 조기 재발사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 사회에서 '백두혈통은 무조건 옳다'고 자평하는 만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흠집이 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북한은 전날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지만 엔진 고장 및 연료 문제 등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미국 백악관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어 "유엔 안보리 결의를 뻔뻔스럽게 위반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며 역내외 안보 상황을 불안정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며 북한의 도발을 강력히 규탄했다.

김 부부장은 이를 두고 "이미 미국부터 시작해 이미 수천개의 위성을 쏘아올린 나라들이 모두 규탄을 받아야 한다는것인데 그야말로 자가당착의 궤변외에 다른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김 부부장은 이번 미사일 발사 실패를 두고 정당성을 부여하며 자신들의 행위를 '자위적 권리 행위'로 묵인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2023060101000082400003571
지난달 31일 서해 어청도 서쪽 200㎞에서 발견돼 인양작전 중이던 북한 주장 우주발사체 동체 일부. 이 동체 일부는 1일 현재 바다에 가라앉아 해저 75m 깊이에 수평으로 누워진 상태이며 해군이 인양작전을 펼치고 있다./제공=합참
이와 관련,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이날 국방위 전체회의에 출석, 우리 군이 서해상에서 확인한 북한 발사체 잔해에 대해 "(로켓의) 2단체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하며 "그 이상 3단체와 (위성)탑재체 부분은 지속해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은 전날 오전 6시29분께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발사체 1발을 발사했으나, 비정상적으로 비행한 끝에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 낙하했다.

우리 군은 같은날 오전 8시 5분께 발사체 낙하 해역에서 발사체의 일부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확인했다. 발견 당시 부유물은 수면 위로 일부만 노출돼 수 미터 길이로 보였고, 1단 로켓과 2단 로켓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했다.

장영근 한국국가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은 "1단 엔진은 정상작동 및 단 분리를 수행하고 2단 엔진의 비정상 시동으로 인해 점화 및 연소 실패로 추진력을 얻지 못했다"며 "이는 결국 우주에서의 추진제 점화 문제에 귀결된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자신들에 대한 행위에 결코 굴복하지 않고 향후 더 위협적인 군사도발 방식으로 표출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이번 북한의 위성 발사는 주권적 권리를 언급하며 자신들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면서 "이런 기준은 기존 대북적대정책, 정권종말, 제도전복의 일환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영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