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복귀 안하는게 아니라 못해”… 개원·전직·해외 택한 전공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hare.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913010008733

글자크기

닫기

이서연 기자

승인 : 2024. 09. 12. 17:57

현장 떠나는 의사들
이미 사직처리, 재취업 법적으로 어려워
"현장선 환자들에 욕먹는데 정부 방관"
'의정갈등 사태' 현장복귀율 10% 안돼
처우 열악 인식, 로스쿨 등 진로변경
"병원 페이닥터가 '워라밸' 훨씬 좋아"
12일 강원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에서 강원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내년도 의대 증원 유예를 위한 김충효 비대위원장 단식 지지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은 단식 중인 김충효 비대위원장과 영상 통화하는 모습. /연합
"현실적으로 지금 현장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도 없다. 돌아가면 그저 대한민국의 의료가 더 망가지는 것뿐이라 생각한다."지난 2월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제출한 이후 현재까지 이들의 현장 복귀율은 10%를 넘지 못하고 있다. 정부의 의대 증원 결정에 반발해 온 전공의들은 해외 의료기관의 일자리를 알아보거나 다른 전문 병원에 재취업하고 있다. 현장 미복귀 전공의들은 정부의 사과와 전공의 처우 개선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한 복귀하는 숫자는 많지 않을 것이라 말한다.

전공의 A씨는 12일 아시아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병원에 복귀할 수 없는 이유와 사직서 제출 이후의 근황을 전했다. 해외 이직을 준비하며 카페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A씨는 "이미 '사직처리'가 됐으니 재취업형태로 들어가는 것도 법적으로 어렵고, 실제로 돌아간 전공의들이 환자들에게 더 욕을 많이 먹고 있다"며 "(정부가) 전공의 처우 개선과 보호를 말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현장 복귀 전공의들이 더 욕을 먹고 있다. 정부가 이를 방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응급실 뺑뺑이를 돌다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사고들이 늘어나면서 국민들은 현장을 떠난 의사들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더라도 현장에서 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국민적 비판에 대해 전공의들은 목소리를 내도 정부가 들어주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A씨는 "지금 이슈인 응급실 뺑뺑이 등의 문제는 예전부터 존재했고, 당시에도 현장에서 의사들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했다"며 "이와 관련해 그 동안 의사들이 정부에 수차례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해왔지만 다 묵살됐다. 난리가 나고 추석이 되니 (정부가) 관심을 갖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A씨는 현재의 의정갈등이 정부의 일방적이고 독단적인 정책 추진 강행에서 비롯됐다는 입장이다. 당정 협의체 제안에 대해서도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그는 "자신들이 이 사태를 해결하는데 열심히 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식으로 국민을 기만하는 것으로 보인다. 거짓과 변칙이 유능함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전공의 B씨 역시 정부에 대한 불신을 강하게 드러냈다. 그는 "정부가 2020년도 합의안 폐기도 그렇고 고등교육법을 위반하면서까지 의대증원을 강행했다. 앞에서는 대화하자고 하면서, 복귀 전공의 리스트 공개 주동자를 찾는다며 경찰력을 동원해 사직 처리된 전공의들을 겁박하고 있는데 (대화하자는 제안이) 진정성이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일반병원에 취직해 환자를 보고 있다는 B씨는 "정부가 일으킨 현재와 미래 환자들 피해를 모두 전공의 탓으로 만들며 악마화하고 있는 상황에 굳이 돌아갈 이유가 없다"며 "해외·개인병원 이직 외에 아예 직종전환을 하는 의사도 많다"고 전했다.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한국중증질환연합회 관계자 등이 의료 공백 해소를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에 환자단체 포함을 제안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
전공의들에 따르면 젊은 전공의 중에서는 약 5% 정도가 전직을, 의대생들의 경우 약 10% 이상이 로스쿨 등으로 진로변경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개원의들은 전공의들이 현장으로 돌아가게 할 '정책적 유인책'이 부족하다고 평가한다. 개원의 C씨는 "전공의들은 현장에서 모든 것을 갈아 넣을 만큼 업무가 많다"며 "일반 직장인들보다도 월급이 적어 그들을 대학병원에 붙잡아둘 수 있는 유인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병원 전공의라는 자부심으로 버티며 병원에 남아있었던 유일한 이유를 정부가 완전히 없앴다"고 했다.

실제로 전공의를 사직하고 페이닥터를 하는 이들의 경우 일주일에 몇 일만 출근해도 월급은 더 받는 것으로 전해진다. C씨는 "월급은 더 많고 시간도 남아 '워라밸'이 생겼다며 이제야 살 만해 하는 퇴직 전공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서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