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칼럼] 대드론체계, 선택 아닌 필수인 이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hare.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307010003175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4. 03. 07. 18:00

조상근 KAIST 국가미래전략기술정책연구소 연구교수
조상근 KAIST 연구교수
조상근 KAIST 국가미래전략기술정책연구소 연구교수
드론이 전쟁의 핵심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초기 드론은 정찰 및 타격용으로 구분돼 운영됐지만 지금은 정찰 임무는 물론 타격도 가능한 다목적 자폭드론이 전장을 휩쓸고 있다.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 모두 '탐지 및 정밀타격(Sensor to Shooter)'이 가능한 자폭드론을 폭넓게 운용하고 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군은 1인칭시점(FPV·First Person View) 자폭드론으로 러시아군의 전차 밎 장갑차 등을 정밀타격하고 있고 장거리 자폭드론 비버(Beaver)는 모스크바를 위협하고 있다.

러시아군도 란셋(Lancet)과 게란-2(이란제 샤헤드-136 변형) 등을 활용해 우크라이나군 포병과 국가중요시설을 타격하는 등 이번 전쟁은 '드론 전쟁'으로 발전하고 있다. 자폭드론이 전술적 수준부터 전략적 수준까지 광범위하게 운용되면서 대드론체계도 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저고도로 은밀하게 접근하는 러시아군 자폭드론을 무력화하기 위해 착용형 탐지기와 재머(Jammer) 등을 운용하고 있다. 러시아군 또한 기동 장비에 소형 재머를 장착하는 등 양측은 전술적 수준에서 대드론체계를 구축해 생존성을 보장하고 전투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러시아군의 전방위적 드론 공세에 맞서 우크라이나군은 전략적 수준에서 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다중 대드론체계 구축에 사활을 걸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도시 외곽으로부터 국가중요시설이 위치한 도시 경계까지 민·관·군의 모든 탐지 및 타격 자산을 융·복합해 종심 깊게 배치했고, 작전 효율성 차원에서 대드론체계 지휘통제 권한을 국토방위군 예하 방공부대로 단일화했다. 우크라이나군은 전 국민을 탐지 자산으로 활용하기 위해 'ePPO'를 개발했다. 'ePPO'는 스마트폰으로 러시아군의 드론, 헬기, 크루즈 미사일 등을 촬영하면 관련 데이터가 방공부대로 실시간 자동 전송되는 앱이다.

이를 통해 방공부대는 원거리에서부터 드론 공격 정보를 수집 및 전파하는 등 대드론 작전의 융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또 우크라이나군은 레이더와 재머가 장착돼 탐지 및 무력화가 동시에 가능한 기동형 전자전 장비를 전력화했고, 소총과 기관총으로 실시간 대공화망을 구축할 수 있는 'Mobile Anti-Drone Group'도 조직했다. 이들은 도시 외곽의 대드론체계를 뚫고 국가중요시설을 향해 돌진하는 러시아군의 군집 드론을 효과적으로 무력화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다중 대드론체계를 통해 다중밀집지역과 국가중요시설 등을 효과적으로 방호해 전쟁지속능력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국제사회의 제재 영향으로 러시아의 대드론체계 구축은 지연되고 있다. 이로 인해 러시아의 주요 도시는 물론 항만과 공항 등 국가중요시설이 우크라이나의 장거리 자폭드론에 지속적으로 피격당하고 있다. 한국의 대드론체계 구축 속도가 북한의 드론 능력 고도화 흐름을 압도하지 못할 경우 이 같은 상황은 한국에서도 재현될 수 있다.

지난해 말 미국 해군에서 한국 조선소에 자국 군함의 유지·보수(MRO)를 맡기려고 했지만 방공체계 부족으로 무산된 사례는 우리의 대드론체계 문제를 여실히 보여준다. 대드론체계는 평시 경제안보와 전시 전쟁지속능력과 직결된다. 한국도 국가 전체에 대한 대드론체계를 설계해 현존 및 미래 위협에 적극 대비해야 한다. 다만 통합방위 차원에서 주요 도시와 국가중요시설이 밀집된 지역은 권역별로 민·관·군의 인력, 예산, 시설 등을 통합 운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통합방위의 주축인 지자체는 군과 협업해 대드론체계 구축을 실질적으로 주도해야 한다.

향후 북한의 드론 능력은 빠른 속도로 고도화될 것이다. 이에 즉응하기 위해선 변화되는 북한 위협을 시나리오화해 정기적으로 민·관·군 통합 훈련과 평가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도출된 소요는 민·관·군이 함께 연구개발(R&D)을 추진해 인공지능(AI)과 레이저 기술이 탑재된 가성비 높은 대드론 장비의 신속개발로 이어져야 한다. 한반도의 엄중한 안보 상황을 고려할 때 대드론체계 구축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