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유엔서 ‘북한인권 안보리 브리핑’ 개최… 북한 인권상황 지적

유엔서 ‘북한인권 안보리 브리핑’ 개최… 북한 인권상황 지적

기사승인 2024. 06. 13. 09:3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북한 내 광범위한 인권침해 지속 지적
표현 자유 제한 등 통제와 감시 강화 상황에 우려
북한 인권문제 기자회견 하는 황준국 주유엔 대사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북한 인권문제 기자회견에서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가 대표자로 나서서 회견문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
외교부는 우리 정부가 6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국으로서 12일(현지시각) 북한인권 관련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를 개최하고 심각한 북한인권 상황과 국제 평화·안보의 연계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우리 정부측에선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와 탈북자 출신인 시민사회대표 브리퍼가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 한국을 포함한 다수의 안보리 이사국들은 2014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 Commission of Inquiry)의 보고서가 발표된 지 올해로 10년이 되었지만 북한내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인권침해가 지속되고 표현의 자유 제한 등 통제와 감시가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외교부는 우리 정부가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의 조속한 해결의 중요성과 탈북민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 준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강제 노동을 통해 창출된 수익을 정권 유지와 불법 핵무기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활용하는 등 북한인권과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가 동전의 양면과 같다고 하면서 안보리가 북한인권 문제를 정례화해 지속적으로 다뤄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과 미국, 일본을 비롯한 57개 유사입장국들과 유럽연합은 공식회의 직전 약식 기자회견을 개최해 북한이 억압적인 정치·사회 체제를 통해 정권을 유지하면서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 국내외적으로 주민 착취를 통해 무기 개발을 위한 재원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외교부는 북한 주민의 복지를 개선하고 평화롭고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유엔 회원국들의 행동을 촉구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우리 정부는 앞으로도 북한인권의 실상과 국제 평화·안보와의 연계성에 대한 국제사회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안보리를 비롯한 다양한 국제무대에서 북한인권 논의가 계속 이루어지고 더욱 심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