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024 국감] “깐족댄다” vs “답변시간 달라”…서울시 국감, 고성 속 한때 ‘파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hare.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015010007906

글자크기

닫기

박아람 기자 | 김소영 기자

승인 : 2024. 10. 15. 15:45

서울시 국감서 여야 정면충돌
오세훈 "피감기관장이 죄인이냐"
[포토] [2024국감] 의원 질의 듣는 오세훈 시장
오세훈 서울시장이 15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정재훈 기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가 초반부터 파행을 겪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질의에 답하는 과정에서 답변 시간을 놓고 여야가 충돌하면서다.

15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인 명태균씨가 주장한 오 시장과의 관계를 물으며 질문을 시작했다.

이에 오 시장은 "국감장에 어울릴법한 질문이 아니다. 그 사안은 국가위임사무도 아니고 국가보조금에 들어가는 사업도 아니고 그걸 답변할 이유가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답변을 원하시나(발언하겠다)"고 했다. 명씨가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개입해 단일화를 이끌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허무맹랑한 소리"라고 일축했다.

특히 윤 의원이 "(명씨가) 대통령 내외를 겁박하는데도 아무런 조치를 못하고 있다. 시장님에 대해서도 명예를 훼손하는 발언이 있다"며 고소할 의향을 묻자 오 시장은 "고소장은 써놨다"고 답했다.
문제는 오 시장의 역점사업인 한강버스가 언급되며 시작됐다. 윤 의원은 김포골드라인의 인파 밀집 대안으로 나온 한강버스 운행 노선에서 김포가 빠진 것등을 거론하며 졸속 추진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오 시장은 "김포 지역 국회의원이 반대했기 때문"이라며 "졸속이 아니라 신속"이라고 응수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인 신정훈 민주당 의원이 "회의가 길어진다"고 정리에 나서자, 오 시장은 "길어져도 할 말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위원장이 "한마디 한마디 답하려 하면 안된다"고 하자 오 시장은 "그건 불공평하다. 아무리 피감기관이어도 문제 제기한 건 답할 기회를 줘야 한다"며 "기관장이 죄인인가. 기관장 설명을 들어야 한다"며 본인이 답할 충분한 기회나 시간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항변했다.

여당 의원들도 국감 진행 방식을 놓고 "완전히 틀렸다"며 시장에게 답변 기회를 주라고 항의했다.

그러자 야당 의원들은 "우리가 시장님 이야기 들으러 왔나" "서울시장 대단하네"라고 지적했고, 여야 의원들 간의 설전이 이어졌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이광희 민주당 의원이 오 시장을 향해 '깐족댄다'고 표현해 여야가 정면충돌했다. 오 시장도 "의원님 표현이 과하시다"며 "제가 지금 깐족댔나. 피감기관장이 요청드릴 내용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장내 소란이 계속되자 신 위원장은 오전 11시 32분께 감사 중지를 선언해 정회했고, 11시 55분께 감사를 재개했다.

국회 행안위 서울시 국감
15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서울시에 대한 국정감사 도중 여야 의원들의 고성이 오가면서 감사가 중지되고 있다. /정재훈 기자
한편 오 시장은 이날 한강을 오가는 새로운 대중교통 수단인 '한강버스'에 대해 "여러 문제 제기에도 불구하고 순조롭게 배 건조작업이 진행되고 있다"며 "충분한 준비를 거쳐 내년 3월 이 사업이 시작되면 내년 여름쯤 한강버스가 어떻게 운행되고, 어떤 성과를 내는지 당당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한다. 내년에 건설적인 토론이 이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필리핀 가사관리사 시범사업과 관련해선 "홍콩이나 싱가포르처럼 입주형을 혼합하거나, 현재 필리핀에서만 (가사관리사가) 오는데 캄보디아나 기타 동남아 국가를 복수 선정해 경쟁 체제를 도입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돌봄 노동자들이 부족한 '돌봄 대란'이 일어날 수 있다"며 "처음에는 육아로 시작했지만, 앞으로 (요양 같은) 돌봄 노동으로 확대할 방안이 있는지 검토하겠다"고 했다.
박아람 기자
김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