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한달 새 12% 점프… 주가 날개단 지방금융, 주주환원 드라이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share.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21010010619

글자크기

닫기

한상욱 기자

승인 : 2025. 01. 20. 17:57

올해 상승률 4대 금융지주의 3배
낮은 외화자산 비중… 환율 영향↓
호실적에 향후 밸류업 편입 전망도
당국 지방금융 활성화에 투심 작용
올해 들어 지방금융지주들의 주가가 평균 10%대 증가율을 기록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같은 기간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 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도는 모습을 보였다.

금융당국이 '수도권-지방 가계대출 차등화'를 검토하며 지방 금융 활성화 방안을 준비 중인 데다, 낮은 외화 자산 비중으로 최근 환율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 호실적을 바탕으로 추후 밸류업 지수 편입이 점쳐지는 점이 투자자들의 이목을 끈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이날까지 3대 지방금융지주(BNK·JB·DGB)의 평균 주가 상승률은 11.6%로 집계됐다. 이 중 JB금융이 1만5800원에서 1만8230원까지 오르며 15.38%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했고, 이어 DGB금융이 10.28%, BNK금융이 9.13%의 주가 상승률을 나타냈다. 같은 기간 4대 금융지주의 평균 주가 상승률은 3.39%에 그쳤다. 단순 계산으로 보면 올해 들어 지방금융지주 3사의 주가 상승률이 4대 금융지주 주가 상승률 3배 넘게 급등한 것이다.

이는 금융당국의 지역금융 활성화 조치와 제한적인 고환율 영향, 호실적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인 밸류업 계획 수립과 이행 노력 때문이라는 평가다. 특히 금융당국이 검토하고 있는 지방금융 활성화 방안이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였다는 분석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경제 불확실성 확대로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지역 경제에 자금을 원활하게 공급하려는 취지를 내세워 지방 가계대출 규제 완화를 추진해 왔다. 가장 유력한 방안은 수도권과 지방 간 가계대출을 차등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방은행의 연간 대출 계획에서 지역 대출 총량을 조금 더 늘리거나, 오는 7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를 시행할 때 가산금리 혜택을 주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지방 가계대출 문턱이 낮아진다면 지역에 유동성 공급이 확대되면서 지지부진한 지방은행의 대출 자산 성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고환율 상황에 따른 환율 리스크에서도 비교적 자유롭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통상 환율이 상승하면 금융사가 보유한 외화자산에서 위험가중치가 커져 보통주자본비율(CET1)이 하락한다. 특히 외화자산이 많은 시중은행의 경우 환율 급등으로 인해 CET1에 가해지는 하방압력이 큰 편이다. 반면 4대 지방은행(부산·경남·전북·광주)이 보유한 외화자산은 지난해 3분기 기준 4조8000억원으로 총자산 대비 2% 수준에 불과해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이 크지 않다.

실적 회복과 각 지주사가 내놓은 밸류업 계획도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3대 지방금융지주의 지난해 합산 당기순익 추정치는 작년 대비 5.9% 증가한 1조7957억원으로, 역대 최대 순익을 기록했던 지난 2022년(1조7965억원)과 비슷하다. 경영 환경에 불확실성이 컸음에도 고금리 영향과 대손비용 하락으로 이자이익이 확대된 영향이 컸다.

이러한 호실적을 바탕으로 각 지방금융지주사들은 지난해 3분기 이후 일제히 밸류업 계획을 발표하며 주주 환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중장기 목표로 CET1 12.5~13%와 총주주환원율 50% 달성, 적극적인 자사주 매입 등을 제시하며 주주환원 강화 의지를 내비쳤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방금융지주의 경우) 이번 밸류업 지수 편입이 불발됐음에도 여전히 주주 환원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만큼 추후 편입 가능성도 충분해 보인다"고 말했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방경제 활력을 위한 가계대출 규제 완화 요인과 적은 외화자산으로 자본비율 악화 우려가 크지 않은 점이 (지방금융지주들의) 주가 상승 폭을 키운 것으로 보인다"며 "자산 규모가 적은 지방은행들이 규제 우려에서 빗겨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일부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상욱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