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아시아투데이 여론조사] ‘내년 대선 프레임’ 정권교체 53.8% vs 정권유지 38.0%

[아시아투데이 여론조사] ‘내년 대선 프레임’ 정권교체 53.8% vs 정권유지 38.0%

기사승인 2021. 05. 06. 06:1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아시아투데이·리얼미터 차기 대선 주자 여론조사
문재인 대통령 '정치적 지지' 40.7% vs '지지 안해' 57.5%
국민의힘 31.0% vs 더불어민주당 29.0%
'민생·경제 해결' '공정 가치 정립' 윤석열 vs 이재명 팽팽
여론조사
내년 3·9 대선에서 정권교체론이 정권유지론을 앞서는 가운데 야권 유력 대선주자로 꼽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공정 가치 확립’은 물론 ‘민생·경제 해결’ 적합 후보 1위를 차지했다. 굵직한 권력형 비리 수사를 처리해온 윤 전 총장이 차기 대권 주자로서 먹고 사는 민생 문제 해결에 대한 국민적 기대감도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이목이 쏠린다.

아시아투데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3일 전국 18살 이상 남녀 101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표본오차 ±3.1%포인트·95% 신뢰수준) 내년 대선에서 ‘정권 교체를 위해 야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53.8%로 절반을 넘었고, ‘정권 유지를 위해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은 38.0%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는 8.2%였다.

연령별로는 40대, 지역별로는 호남을 뺀 모든 연령층과 지역에서 정권교체를 바라는 여론이 정권 유지를 바라는 여론 보다 높았다. 특히 20대의 정권 교체 응답은 55.2%로, 60대(63.6%) 다음으로 높았으며, 50대(54.6%)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유일하게 40대에서 정권유지론(52.7%)이 정권교체론(40.9%)을 앞섰다.

지역별론 대구·경북(67.9%), 강원(63.4%), 부산·울산·경남(59.3%), 서울(56.9%), 경기·인천(52.0%)에서 절반 이상이 정권 교체를 원한다고 응답했다. 광주·전남·전북의 정권 유지 의견은 54.8%로, 정권 교체(35.6%)을 19.2%포인트 앞섰다.

직군별론 사무직·노동직·자영업·무직 등 모든 직업군에서 정권교체 의견이 많았다. 특히 전업주부(65.2%), 학생(59.7%), 자영업(55.6%)에서 정권교체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피해가 크고 지역사회 입김이 센 ‘빅마우스’로 불리는 자영업자의 흐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민생·경제 해결’ 윤석열 32.5% 이재명 24.4% 이낙연 10.7%

이번 조사에서 윤 전 총장은 민생·경제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대선 후보 1위에 올랐다. 민생·경제 문제 해결 능력은 코로나19 여파로 차기 대선의 핵심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의 32.5%가 윤 전 총장을 ‘민생·경제 해결’ 적합 후보로 꼽았다. 이어 이재명 경기도지사(24.4%),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10.7%), 홍준표 무소속 의원(6.6%),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5.4%), 정세균 전 국무총리(4.2%), 유승민 국민의힘 전 의원(2.9%),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2.0%), 심상정 정의당 전 대표(2.0%), 원희룡 제주도지사(0.9%) 순이었다.

톱3인 윤 전 총장과 이 지사, 이 전 대표 모두 비경제인 출신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윤 전 총장과 이 지사는 법조인 출신이며, 이 전 대표는 대표적인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반면 경제통으로 분류되는 안 대표와 정 전 총리, 유 전 의원 등은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안 대표는 정보기술(IT) 보안업체 안랩을 창업한 벤처 경영인이었으며, 정 전 총리는 대기업 임원 출신으로 실물경제를 총괄하는 산업자원부(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지냈다. 유 전 의원은 미국 위스콘신대를 졸업한 경제학 박사에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 경제전문가다.

◇‘공정 가치 정립’ 윤석열 34.3% 이재명 21.5% 이낙연 11.3%

윤 전 총장은 공정가치 정립 적합 후보 조사에서도 1위였다. 공정가치는 2030세대가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이슈 중 하나로 내년 대선에서 주요 이슈가 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지난 4·7 재보궐 선거를 거치며 2030세대의 표심이 선거 승패를 가를 핵심 요인으로 급부상하면서 청년세대의 마음을 얻기 위한 정치권의 대책 마련이 분주하다.

공정 가치를 가장 잘 정립할 것으로 생각되는 대선 후보를 묻는 질문에 윤 전 총장을 택한 응답자가 34.3%로 가장 많았으며, 이 지사는 21.5%로 뒤를 이었다. 이어 이 전 대표(11.3%), 홍 의원(6.2%), 정 전 총리(5.1%), 안 대표(5.0%), 심 전 대표(3.0%), 추 전 장관(2.9%), 유 전 의원(2.2%), 원 지사(1.4%) 순이었다.

공정 가치에 민감한 2030세대에서도 윤 전 총장과 이 지사가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20대에선 윤 전 총장(26.3%), 이 지사(14.5%), 홍 의원(13.2%) 등이 두 자릿수를 보였고, 나머지 후보들은 한 자릿수에 그쳤다. 30대에선 윤 전 총장(30.8%), 이 지사(20.6%), 이 전 대표(18.1%) 순이었다. 이어 심 전 대표(6.1%)와 안 대표(6.1%)가 동률이었다.

◇문재인 대통령 ‘정치적 지지’ 40.7% vs ‘지지 않해’ 57.5%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정치적 지지도는 국정수행 평가와 별개의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문 대통령의 정치적 지지 여부에 대한 물음에 ‘지지한다’ 40.7%(매우 지지 27.4%, 어느 정도 지지 13.3%), ‘지지하지 않는다’ 57.5%(전혀 지지하지 않음 44.6%, 별로 지지하지 않음 12.9%)였다. ‘잘 모르겠다’ 1.8%였다.

‘지지한다’는 응답자는 40대(57.1%)와 30대(44.8%), 광주·전남·전북(59.8%), 진보층(73.2%), 판매·영업·서비스·생산·기능·노무직(49.3%), 민주당(88.7%)과 열린민주당(87.1%) 지지층 등에서 전체 평균 보다 높았다. 반면 ‘지지하지 않는다’는 60살 이상(67.1%)과 20대(61.9%), 대구·경북(75.1%), 보수층(83.8%), 전업주부(67.6%)와 자영업(63.3%), 학생(62.9%), 국민의힘(96.5%)과 국민의당(83.4%)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문 대통령에 대한 정치적 지지도는 최근 발표된 국정수행 평가 조사와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리얼미터가 와이티엔(YTN) 의뢰로 지난달 26~30일 전국 18살 이상 2523명을 대상으로 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2.0%p)한 결과에 따르면 문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33.0%로 전주보다 0.8%포인트 떨어졌다. 취임 후 최저치였으며 부정평가는 62.6%였다.

◇국민의힘 31.0% vs 민주당 29.0%…무당층 19.0%

정당 지지율은 제1야당인 국민의힘과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오차범위 안에서 팽팽했다. 국민의힘 31.0%, 민주당 29.0%였다. 국민의당(7.7%), 열린민주당(6.0%), 정의당(4.2%), 기타 정당(3.1%) 순이었다. 지지 정당이 없거나 모르겠다(무당층)는 19.0%였다.

국민의힘은 60살 이상(43.8%), 대구·경북(42.7%)과 부산·울산·경남(36.7%), 서울(35.5%), 보수층(58.7%), 전업주부(46.6%) 등에서 전체 평균 보다 높았다. 민주당은 40대(45.9%), 광주·전남·전북(47.7%), 진보층(54.2%), 사무·경영·관리·전문직(36.0%)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번 조사는 아시아투데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3일 전국 만 18살 이상 성인 남녀 1013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무선전화(90%)와 유선전화(10%) 병행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진행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응답률은 4.0%다. 표본은 2021년 4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에 따른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 부여(림가중)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 심의위원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