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2030년 사과·배 계약재배 물량 생산량의 30% 수준으로 확대

2030년 사과·배 계약재배 물량 생산량의 30% 수준으로 확대

기사승인 2024. 04. 02. 08:1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temp_1711944000756.1476253742
농림축산식품부가 과일 수급 안정 대책 일환으로 사과와 배 계약재배 물량 확대, 재해 예방시설 보급률 확충 등 대책을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2024~2030)'을 발표했다.

박수진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기후 변화 진행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민들이 부담 없이 국산 과일을 소비할 수 있는 생산·유통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우선 농식품부는 소비 비중이 가장 큰 사과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2024 사과 안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최근 사과 재배면적을 증가 추세이지만 안정적 생산을 위해 다양한 재해·병해충에 대비한 생육 관리가 중요한 상황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 농식품부는 수급 안정용 사과 계약재배물량을 6만톤으로 확대했다. 지난해 4만9000톤에 비해 1만톤가량 늘어난 것이다. 또한 일부 물량은 출하 시기뿐만 아니라 출하처·용도까지 농식품부가 직접 관리하고, 1만톤 규모 작은 사과 시범 생산도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현재 기준 사과·배 재배 면적의 1~16% 수준에 그치는 냉해·태풍·폭염 3대 재해 예방시설 보급률을 2030년까지 30%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재해에 따른 사과·배 피해를 약 31%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사과·배 계약재배물량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2023년 사과와 배 생산량의 각 5만톤, 4만톤의 계약재배물량을 2030년 생산량의 30% 수준까지 늘리기로 한 것이다. 이로 인해 사과와 배 걔약재배물량은 각 15만톤, 6만톤까지 확대된다.

농식품부는 수급 상황에 따라 최대 5만톤을 지정출하 방식으로 운용해 도소매 등 특정 유통 경로의 가격 급등락에 대응하기로 했다. 지정출하는 출하 시기뿐만 아니라 출하처·용도까지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계약재배 방식이다.

농식품부는 미래 재배 적지를 중심으로 생산성이 2배 이상 높은 스마트 과수원 특화 단지 조성도 추진한다.

스마트 과수원은 나무 형태·배치를 단순화해 기존 과수원 대비 노동력을 30% 줄일 수 있고 , 햇빛 이용률을 높여 생산성을 극대화하는데 이점을 갖고 있다.

박수진 실장은 "20ha 규모로 단지화해 2025년 스마트 과수원 5개소를 신규로 조성하겠다"면서 "2030년까지 전체 사과 재배면적의 4% 수준인 1200ha(60개소)를 스마트 과수원으로 구축하고, 사과 생산량의 8%를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북상하는 사과 재배지 현상에 맞춰 강원도 등 새로운 사과 산지의 전략적 육성 대책도 추진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정선·양구 등 강원 5대 사과 산지 재배면적을 2배 확대, 스마트 과수원 조성, 저점APC 건립, 강원 사과 브랜드화 등이다.

농식품부는 2030년까지 온라인 도매시장의 사과 유통 비중을 전체 거래의 15%까지 확대하고, 산지와 소비자 직거래 비중을 22.6%에서 35%까지 높여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1인 가구 확대 등 소비 추세를 반영해 노란 사과(골든볼), 초록 배(그린시스) 등 산품종 시장을 확대하고, 일상 소비용 중소과 생산도 전체 면적의 5%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박 실장은 "유통 구조 개선, 소비 트렌드 반영 등으로 국산 과일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