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고물가에… 실질소득 7년 만에 최대 감소

고물가에… 실질소득 7년 만에 최대 감소

기사승인 2024. 05. 23. 18:1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 1.4%↑
소비지출은 1년 전보다 3% 증가
물가 반영 실질 소비지출 '제자리'
올해 1분기 가계소득이 1.4% 늘어 3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였지만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7년 만에 가장 많이 줄었다. 명목소득 증가가 물가 상승을 못 따라간 탓이다. 특히 실질 근로소득은 역대 최대 폭으로 줄면서 소득 감소를 이끌었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1인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은 512만2000원으로 1년 전(505만4000원)보다 1.4% 늘었다. 가계소득은 3개 분기 연속 늘었지만 증가 폭은 전 분기(3.9%)보다 둔화했다.

소득 항목별로 보면 가장 비중이 높은 근로소득은 329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1.1% 줄었다. 지난해 기업 실적 부진으로 주요 기업이 상여금 지급을 축소한 영향이 컸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사업소득은 8.9% 늘어난 87만5000원이었다. 임대소득 증가와 농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농업소득 증대 등이 영향을 미쳤다. 이전소득은 81만8000원으로 5.8% 증가했다. 국민·기초연금 등 연금 수급액 상승과 부모 급여가 늘어난 결과다.

하지만 명목소득 증가에도 물가를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1.6% 줄었다. 1분기 기준 2021년(-1.0%) 이후 3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2017년 1분기(-2.5%) 이후 7년 만에 최저치다. 특히 실질 근로소득은 전년보다 3.9% 줄며 관련 통계에 1인 가구가 포함된 2006년 이후 1분기 기준 가장 많이 감소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동향수지과장은 "물가만큼 소득이 늘지 않았기 때문에 가구 실질소득이 마이너스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3.0% 증가했다. 국내외 여행 증가, 과일·채소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오락·문화(9.7%), 식료품(7.2%) 등에서 증가 폭이 컸다. 교통(-1.0%), 기타상품·서비스(-0.6%), 통신(-0.7%) 등 지출은 감소했다.

다만 물가를 반영한 실질 소비지출은 보합(0.0%)을 기록했다. 실제로 소비 규모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물가 상승으로 지출 규모가 커졌다는 의미다. 실질 소비지출은 1분기 기준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7.1%) 이후 가장 낮았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