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취재후일담] 선배 ‘용퇴’ 기다리게 하는 조직문화…공직 무게감 되살려야

[취재후일담] 선배 ‘용퇴’ 기다리게 하는 조직문화…공직 무게감 되살려야

기사승인 2024. 07. 15. 17:2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이정연
기획취재부 이정연 기자.
"저희 기수 때부터도 1등이 경제부처를 선택하지 않았어요. 워라밸도 안 좋고 승진이 너무 느려서요. 서울 근무가 가능한 부처가 인기가 많죠."

최근 관가에서 들리는 말입니다. 대한민국의 경제를 그리는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경제부처 근무가 MZ세대로부터 꽤 오래 기피돼왔다는 목소리입니다. 윗선부터 누적된 고질적 인사적체와 아래로부터 표면화되는 서울 선호·세종 기피까지, 기대를 안고 처음 입직한 공무원들이 '국가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보다 '어떤 것을 먼저 피해야 할까'를 고민하게 만드는 조직문화와 인사체계라는 것입니다.

일례로 기재부의 경우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재정경제부와 예산을 담당하는 기획예산처가 합치면서 부처의 권한과 조직이 커진 반면 보직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입니다. 사무관으로 12~13년가량 일해도 서기관 승진이 안 된 경우도 있고, 기재부 과장급 사이에서도 타부처 입직동기가 국장급이나 차관보급 자리에 가있는 경우도 포착됩니다. 사기저하가 만연해질 수 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이런 가운데 한 켠에선 조직을 위해 선배의 용퇴를 기대하는 분위기마저 공직사회에서 보이고 있습니다. 기재부는 아니지만 한 경제부처 관계자는 사석에서 이직한 선배를 향해 '후배들을 위해 용퇴해주셨다'며 치켜세우는 목소리도 들립니다.

이처럼 경제부처의 인사적체가 심각한 건 한 두해 제기된 문제가 아니지만, 과거에는 줄곧 산하기관으로 자리를 옮기는 일도 많았는데 최근에는 국민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며 '낙하산 인사' 혹은 '관피아'라는 오명으로 되레 이들이 보유한 전문성에 대해 타당한 인정을 받지 못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정부에서는 여당이 총선에서 밀리면서 공기업 수장 자리에 정치권 '낙하산 인사'들로 채워질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의 공공성을 고려했을 때 정부의 정책 연속성과 이해도 측면에서 관계부처 출신 수장의 장점이 있을텐데, 상대적으로 단점보다 덜 부각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한평생 공직에 몸바친 이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전출 등 근무의 유연성을 보장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선진행정의 지속가능성이 보장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