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역대 최저…전년 比 6.7% 감소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역대 최저…전년 比 6.7% 감소

기사승인 2024. 06. 27. 13:1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2551명…1970년 통계관리 후 최저
65세 이상 사망자 48.6% 가장 많아…음주사고 줄어
교통사고 사망자 발생 추세
교통사고 사망자 발생 추세. /도로교통공단
도로교통공단은 1970년 교통사고 통계관리 이후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6.7% 감소한 2551명으로, 1970년 교통사고 통계관리 시점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대폭 감소하면서 국가 간 교통안전수준 지표인 '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도 OECD 평균(21년 5.3명)보다 0.4명 낮은 4.9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의 사고 당시 상태를 보면 '자동차 승차 도중' 사망한 사례가 전체 35.6%(909명)로 가장 많았으며 △보행 중 사망(34.7%·886명) △이륜차 승차 중(556명·21.8%) △자전거 승차 중(6.3%·160명) △기타(40명·1.6%)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65세 이상(고령자) 사망자가 전체 48.6%(1240명)로 가장 많았다.

가해 차종별로는 이륜차, 자전거, 개인형 이동장치(PM) 등 두 바퀴 차량 사고의 사망자 감소가 두드러졌다. 이륜차와 자전거는 각각 19.0%(484명→392명), 29.7%(91명→64명) 감소했고, 매년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던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 사망자도 전년대비 7.7%(26명→24명) 감소했다. 사망자를 많이 발생시킨 차량으로는 승용차 다음으로 화물차, 이륜차(원동기장치자전거, 사륜오토바이 포함)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23년 통계
교통사고 사망자의 사고시 상태. /도로교통공단
2022년 증가했던 음주운전 사고 사망자는 단속과 예방 활동의 결과로 지난해 25.7%(214명→159명) 감소했고, 렌터카 사고 사망자도 31.5%(92명→63명) 줄었다.

12세 이하 사망자도 22.2%(18명→14명) 감소했고, 이 가운데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발생한 보행 사망자는 2명으로 전년보다 1명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도로교통공단은 정부의 적극적인 교통안전정책과 국민의 교통안전의식 향상으로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가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고영우 도로교통공단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장은 "도로 위 국민 안전을 위한 정부·지자체, 경찰, 관계기관의 노력으로 교통사고 사망자가 매년 감소하고 있고, 지난해는 사망자가 역대 최소치를 기록하는 의미있는 한 해였다"고 말했다.

이어 "지속적인 사망자 감소를 이어가기 위해 공단은 데이터 기반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대책을 바탕으로 국민의 교통안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